신고 결과 받기

workspace_junsoo ㅣ 2024. 12. 19. 14:57

문제 설명

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.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신고 횟수에 제한은 없습니다. 서로 다른 유저를 계속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할 수도 있지만,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고 횟수는 1회로 처리됩니다.
  •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,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.
    •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.

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["muzi", "frodo", "apeach", "neo"]이고, k = 2(즉,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)인 경우의 예시입니다.

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설명

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유저ID 유저가 신고한 ID 설명
"muzi" "frodo" "muzi" 가 "frodo" 를 신고했습니다.
"apeach" "frodo" " apeach " 가 "frodo" 를 신고했습니다.
"frodo" "neo" " frodo " 가 " neo " 를 신고했습니다.
"muzi" "neo" "muzi" 가 " neo " 를 신고했습니다.
"apeach" "muzi" " apeach " 가 " muzi " 를 신고했습니다.

유저 ID신고당한 횟수

 

유저 ID 신고당한 횟수
"muzi" 1
"frodo" 2
"apeach" 0
"neo" 2

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"frodo"와 "neo"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. 이때,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유저ID 유저가 신고한 ID 정지된ID
"muzi" [ "frodo" , "neo" ] [ "frodo" , "neo" ]
"frodo" [  "neo" ] [  "neo" ]
"apeach" [ "muzi" ,"frodo" ] [ "frodo" ]
"neo" 없음 없음

따라서 "muzi"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, "frodo"와 "apeach"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.

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 id_list,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 report,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 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
제한사항

  • 2 ≤ id_list의 길이 ≤ 1,000
    • 1 ≤ id_list의 원소 길이 ≤ 10
    •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  •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.
  • 1 ≤ report의 길이 ≤ 200,000
    • 3 ≤ report의 원소 길이 ≤ 21
    • report의 원소는 "이용자id 신고한id"형태의 문자열입니다.
    • 예를 들어 "muzi frodo"의 경우 "muzi"가 "frodo"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.
    •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  •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(스페이스)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
    •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  • 1 ≤ k ≤ 200, k는 자연수입니다.
  • return 하는 배열은 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.

내 풀이

import java.util.HashMap;
import java.util.HashSet;

class Report {
    public int[] solution(String[] id_list, String[] report, int k) {
        int[] answer = new int[id_list.length];
        
        HashMap<String, HashSet<String>> reportMap = new HashMap<>();
        for (String id : id_list) {
            reportMap.put(id, new HashSet<>());
        }

        for (String rep : report) {
            String[] reportCard = rep.split(" ");
            String reporter = reportCard[0];
            String reported = reportCard[1];
            reportMap.get(reported).add(reporter);
        }

        HashMap<String, Integer> notifyCount = new HashMap<>();
        for (String id : id_list) {
            notifyCount.put(id, 0);
        }

        for (String reported : reportMap.keySet()) {
            HashSet<String> reporters = reportMap.get(reported);
            if (reporters.size() >= k) {
                for (String reporter : reporters) {
                    notifyCount.put(reporter, notifyCount.get(reporter) + 1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id_list.length; i++) {
            answer[i] = notifyCount.get(id_list[i]);
        }
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

 

이번 문제는 솔직하게 gpt 도움을 좀 받았다... 혼자 힘으로 풀어보려 했으나,,,, 조금 어려웠다.

풀고나서 이후 코드 이해를 위해 여러번 풀어보면서 현재는 어느정도 이해를 한 상태이다.

 

메일받은 횟수를 반환하는것이 목표이기에 거기에 맞게 코드를 짜야한다.

     

        HashMap<String, HashSet<String>> reportMap = new HashMap<>();
        for (String id : id_list) {
            reportMap.put(id, new HashSet<>());
        }



HashMap 을 이용하여 제네릭타입 String , HashSet 구조 로 생성한다.

여기서 HashsSet을 값으로 준 이유는 Set 은 중복 을 제거하기에 Set 을 활용한것이다.

문제에 보면 동일 인물이 다른 동일 사용자를 여러번 신고하더라도 결과적으로 1이라는 신고만 들어가도록 짜야하기에

이 문제는 set 을 사용함으로서 해결이 된다.

 

       for (String rep : report) {
            String[] reportCard = rep.split(" ");
            String reporter = reportCard[0];
            String reported = reportCard[1];
            reportMap.get(reported).add(reporter);
        }

 

foreach 문을 통해  파라미터로 받을 report 문자열을 split으로 나누는 과정이다.

" " 공백을 기준으로 자르기 때문에 0번째  인덱스는 신고자 1번째 인덱스는 신고받은자 로 나뉜다.

 HashMap<String, Integer> notifyCount = new HashMap<>();
        for (String id : id_list) {
            notifyCount.put(id, 0);
        }

 HashMap 으로 이제 메일 발송횟수를 받을 map 을 만든다.

첫번째 값은 0으로 지정한다.

 

    for (String reported : reportMap.keySet()) {
            HashSet<String> reporters = reportMap.get(reported);
            if (reporters.size() >= k) {
                for (String reporter : reporters) {
                    notifyCount.put(reporter, notifyCount.get(reporter) + 1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 

이후 keset 함수를 이용해 reportMap 에 key 배열을 repoted 변수에 담는다. 

reported 는 이후 reportMap.get 함수에 넣어저 리포터 선언한다.

<여기서는 key를 받아서 value 를 찾는 형식으로 되어있지만 애초애 value 를 집어넣을수 있었다... 기억하자 잘>

'프로그래머스 > level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햄버거 만들기  (0) 2024.12.17
문자열 나누기  (1) 2024.12.16
공원 산책  (0) 2024.12.13